728x90
반응형
SMALL
일반적으로 linux os 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경우가 적다.
특별히 고객이 원하거나 상대방에게 조금 더 쉽게 설명을 위해서는 예외적으로 한글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국제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영어가 아닌 한글은 보통 깨져서 보이며 인코딩 방식을 변경하여 해결하면 된다.

1. set encoding을 사용하여 해당 작업 중에 일시적으로 인코딩을 적용
vim editor에서 'esc'를 누른 후 ':set encoding=utf-8' 를 입력한다.


입력 후 확인하면 바로 한글이 정상적으로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일시적으로 저장 후 다시 열어보면 한글이 깨져서 보인다.
2. 영구적 적용 - vim 설정 값 변경
/etc/vimrc 는 vim에 대한 설정이 들어있다. 이곳에 코드를 추가하여 한글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vi는 /etc/virc 에 적용하면 된다.
$ echo 'set encoding=utf-8' >> /etc/vimrc
$ echo 'set fileencodings=utf-8,cp949' >> /etc/vimrc
$ echo 'set encoding=utf-8' >> /etc/virc
$ echo 'set fileencodings=utf-8,cp949' >> /etc/virc
위 설정시 영구적으로 한글 입력 및 재편집 시에도 정상적으로 확인 된다.
728x90
반응형
LIST
'공부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8.x KVM Install (0) | 2024.01.02 |
---|---|
[Linux] dnf -makecache log관련 (7) | 2023.03.15 |
[Linux] 물리서버 전원 버튼 클릭 시 Poweroff 비활성화 (16) | 2023.03.13 |
일반 계정에서 sudo 사용을 위한 sudoers 설정 (2) | 2023.02.23 |
Linux top 명령어 & 단축키 (0) | 2023.02.23 |
댓글